-
[Git] Git에 push하는 방법 / 초심자를 위한 Git / Git 기초Dev 2019. 10. 9. 19:32
기본적으로 add -> commit -> push의 과정은 적어도 알고 있어야 한다.
(git을 깔아두고 vs코드와 연결 한 후의 이야기다.)
일단, 새로운 프로젝트를 올릴 때는 깃에 레포지토리를 새로 만들어야한다.
그리고 깃에 올리고자 하는 디렉토리 안에서 진행해야한다. 가상환경은 git에 올리지 않으니,
장고프로젝트를 기준으로 깃에 올리는 폴더는 앱을 담고있는 큰 프로젝트 폴더가 될 것이다!
1. $ git init이걸 하면 폴더 안에 .git이라는 이름을 가진 숨김폴더가 하나 생긴다. 만약 앞으로의 과정을 하다가 망했다 싶으면 이 .git 폴더를 지우고 다시하면 된다
2. $ git status현재 상태 확인
3. $ git add .현재 폴더를 staging area로 올리기
끝에 점있다. 점 빼면 안된다!
4. $ git commit -m "first commit"
따옴표 안에는 내가 원하는 메시지를 남기면 된다. 어디를 만들었는지, 수정했는지를 적어놓는걸 추천한다고 한다.
이 메시지 안남기면 커밋이 안된다.
5. $ git remote add origin 내git레포주소맨 처음에 만들어놓은 깃 레포지토리 주소를 복사해와서 끝에 적어줘야 한다.
그 레포와 내 프로젝트를 연결하는 과정.
만약 '헐 레포아직안만들었는데' 하면 지금 가서 만들고 주소 복사해와서 5번 명령어만 잘 치면 된다.
6. $ git push -u origin master제일 중요한 푸시! 푸시를 해야 내 깃 사이트에 가서 내가 올린 애들을 볼 수 있다!
최초로 할때에는 1~6까지 하면되고,
로컬에서 수정 한 후에 다시 깃에 올리고 싶을 때는 2, 3, 4, 6만 진행하면 잘 된다.
이대로 똑같이 따라했는데 문제가 일어난 경우는 거의 못봤으니 진짜 이것만 따라하면 이해는 못해도
푸시는 할 수 있다.
'Dev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] git으로 협업하기/ git 협업 방법 / 초심자를 위한 git (0) 2019.11.24